본문 바로가기

물리화학

르 샤틀리에의 원리

 화학 반응에는 조건에 따라 생성물이 반응물로 돌아가는, 즉 반응이 거꾸로 진행되는 역반응이 일어날 수 있는 반응인 가역 반응과 그렇지 않은 비가역 반응이 있습니다. 그 중 가역 반응은 시간이 지나면 정반응의 속도와 역반응의 속도가 같아져 반응이 더 이상 일어나지 않는 것처럼 보이는 평형 상태에 도달하게됩니다.

 르 샤틀리에의 원리는 이러한 평형 상태의 계가 교한을 받게 될 경우 일어나는 일을 설명하는 원리로, 평형에 있는 계가 교란을 받게 되면 계는 그 교란에 의한 효과를 최소화시키려 한다는 원리입니다.

 예를 들어 실린더 내부에서 한 분자의 A가 두 분자의 B로 분해되는 반응이 있다고 할때(A(g)↔2B(g)), 실린더를 눌러 이 계의 압력을 증가시키면 르 샤틀리에의 원리에 의해 교란에 의한 효과, 즉 압력의 증가를 최소화 하려하고 이는 실린더 속 기체 입자의 감소로 이어져 B의 양이 줄어드는 쪽으로 평형 위치가 이동하게됩니다.

'물리화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화학 평형  (0) 2022.12.05
촉매  (0) 2022.12.03
열화학-헤스의 법칙  (0) 2021.12.03
열화학- 엔탈피  (0) 2021.11.26
열화학-칼로리  (0) 2021.11.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