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리화학/전기화학 (4) 썸네일형 리스트형 전기화학- 다니엘 전지 다니엘 전지는 전체적으로 볼타전지와 유사하나, 염다리의 존재로 인해 분극현상이 일어나지 않는다는 점이 특징입니다. 영국의 다니엘이 발명했으며 음극에 아연, 양극에 구리를 사용한다는 점은 볼타 전지와 같지만 하나의 전해질(묽은 황산)을 사용한 볼타 전지와 달리 두개의 전해질(황산 아연, 황산구리(Ⅱ))을 사용한다는 것과 염다리를 사용한다는 차이점이 있습니다. 볼타 전지와 마찬가지로 아연판에서는 아연이 전자를 잃고 아연 이온으로 산화되는 반응이, 구리판에서는 수소 이온이 전자를 얻어 수소 기체로 환원되는 반응이 일어납니다. 염다리는 황산 칼륨이나 염화 칼륨과 같은 반응성이 작은 이온결합 물질을 관에 넣어 굳힌 것으로, 이를 통해 이온이 이동하며 전하의 불균형을 해소하고 전기적으로 중성을 만들어주어 전류가 계.. 전기화학- 볼타 전지 볼타 전지는 1800년에 이탈리아의 물리학자 알레산드로 볼타가 개발한 전지로 아연판과 구리판을 연결해 묽은 황산에 넣어 만듭니다. 묽은 황산은 전자가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는 전해질의 역할을 하고, 아연판에서는 아연이 전자를 잃고 아연 이온으로 산화되는 반응이, 구리판에서는 수소 이온이 전자를 얻어 수소 기체로 환원되는 반응이 일어나 각각 음극과 양극이 됩니다. 볼타 전지를 실제로 작동시키면 전류가 흐르다가 곧 흐르지 않게 되는데, 이는 환원된 수소 기체가 구리판에 달라붙어 전자의 이동을 막기 때문입니다. 과산화수소와 같은 산화제를 넣어주면 수소가 물로 산화되면서 분극 현상이 해소돼 다시 전류가 흐르게 되는데, 이러한 첨가제를 감극제라 부릅니다. 전기화학-전지 전지란 전자가 이동하는 화학 반응(산화-환원 반응)을 이용해 인위적으로 전류를 발생시키는 장치를 말합니다. 대부분의 전지는 크게 1차전지와 2차전지 또는 건식전지와 습식전지로 구별할 수 있습니다. 1차전지는 사용하여 방전되면 재사용이 불가능한 전지이고, 2차전지는 방전되어도 충전하여 다시 사용할 수 있는 전지를 말합니다. 1차전지는 건전지와 수은전지 등이 있으며, 2차전지는 자동차에 사용되는 납 축전지와 휴대폰 등의 작은 기기에 사용되는 리륨이온 전지 등이 있습니다. 건식전지와 습식전지의 분류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먼저 전지의 작동 원리에 대해 알아야 합니다. 전지에서 전자는 음극에서 전자가 흐를 수 있는 전해질을 지나 양극으로 들어가며 순환하고, 이로 인해 전류가 발생합니다. 이때 전해질이 액체에 이온이.. 전기화학-산화환원반응 전기화학이란 화학반응에서 전자의 이동을 중심으로 하는 화학의 한 분야를 말합니다. 전자의 이동을 중심으로 하기 때문에 마찬가지로 전자의 이동으로 정의되는 산화-환원 반응과 관련이 깊으며, 화학반응을 이용해 전류를 발생시키거나, 반대로 전류를 통해 화학반응을 일으키는데 초점을 맞춥니다. 산화-환원 반응은 일반적으로 반응 과정에서 반응물들이 전자를 얻고 잃는 반응을 말합니다(수소나 산소를 이용해 정의되기도 함). 이때 전자를 잃은 물질은 산화되었다고, 얻은 물질은 환원되었다고 표현합니다(수소의 경우도 이와 같으나 산소의 경우는 일반적으로 산소와 결합한 물질은 산화되었다, 산소와의 결합이 끊어진 물질은 환원되었다 표현함. 단, 플루오린화 산소의 경우는 반대로 플루오린이 환원, 산소가 산화됨). 화학반응에는 전..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