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적으로 카복실산은 탄소 원자가 가장 길게 연결되어있는 사슬에 해당하는 알케인의 이름을 사용합니다. 사슬의 시작은 카복시기(-COOH)의 탄소원자인 카복시 탄소원자로 하며 사슬에 따라 치환기의 위치에 번호를 붙입니다. 이때 카복시기는 다른 어떤 치환기들에 비해서도 우선적으로 명명에 반영됩니다. 관용명의 경우 치환체의 위치는 카복시 탄소원자에 가까운 탄소원자부터 그리스 문자를 이용해 나타내고 -CH(CH3)2로 끝나는 경우에는 접두어 '아이소-' 를 붙이기도 합니다.
다중결합이 포함된 불포화 산은 해당하는 알켄의 이름을 사용하여 명명되며 끝에 '-산'을 붙입니다. 마찬가지로 카복시 탄소원자를 시작으로 번호를 붙이며 다중 결합의 위치에도 번호를 붙입니다. 시스와 트랜스(Z와 E)는 알켄에서와 마찬가지로 적용되며 사이클로알케인에 카복시기가 붙은 경우 일반적으로 '사이클로알케인카복실산'으로 명명합니다.
방향족 산의 경우에는 벤조산의 유도체로 명명됩니다. 부수적인 치환체의 위치는 오쏘-, 베타-, 파라- 의 접두사를 사용해 나타내며 2개 이상의 치환체가 존재할 경우 숫자를 이용합니다. 다만 많은 방향족 산이 구조와는 관련이 없는 관용명을 갖기도 합니다.
2개의 카복시기를 갖는 다이카복실산은 구조가 간단한 경우에는 관용명을 주로 사용하고 일반적으로는 해당되는 알케인의 이름에 '-다이산'을 붙여 부릅니다. 해당되는 알케인은 2개의 카복시기를 포함하는 가장 긴 탄소사슬을 사용하여 결정합니다. 치환된 경우 치환체가 더 가까운 카복시 탄소원자를 시작으로 번호를 붙입니다. 관용명은 간단한 카복실산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그리스 문자를 사용합니다. 그리스 문자는 카복시 탄소원자에 가까운 순서대로 사용합니다.
2개의 카복시기를 갖는 벤젠류 화합물은 프탈산으로 명명됩니다. 프탈산 그 자체는 오쏘 이성질체이며 메타 이성질체는 아이소프탈산, 파라 이성질체는 테레프탈산으로 불립니다.
'유기화학 > 탄화수소 유도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에터-물리/화학적 성질 (0) | 2021.11.03 |
---|---|
알코올-명명법 (0) | 2021.11.02 |
카복실산-개관과 물성 (0) | 2021.10.20 |
탄화수소 유도체-목록 (0) | 2021.10.19 |
알데하이드, 케톤-개관과 물성 (0) | 2021.10.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