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선형 알코올의 명명법은 다음 단계를 따릅니다. 우선 카보닐 탄소 원자를 포함한 가장 긴 탄소 사슬을 명명하고 하이드록시기가 가장 가까이 있는 탄소사슬의 끝부터 번호를 붙인 후(하이드록시기가 붙어있는 탄소가 가능한 낮은 숫자가 되어야 함) 적절한 숫자를 사용하여 하이드록시기의 위치를 나타냅니다. 마지막으로 치환기를 명명하고 이름을 붙이면 끝입니다.
고리형 알코올의 경우는 접두사 '사이클로-'를 사용해 명명하고 하이드록시기가 1번 탄소에 붙어있다고 가정하는 것을 제외하면 직선형 알코올과 같습니다.
2개의 하이드록시기가 있는 알코올은 다이올또는 글라이콜(특히 하이드록시기가 가까이 붙어있는 이웃자리다이올을 칭함)이라 하는데, 다이올을 이름 끝에 붙이는 것과 2개의 하이드록시기를 표현하기 위해 숫자를 2개 사용한다는 점을 제외하면 마찬가지로 직선형 알코올과 비슷합니다.
방향족 알코올인 페놀은 벤젠고리가 들어있어 오쏘(1, 2번 탄소가 치환된 것), 메타(1, 3번 탄소가 치환된 것), 파라(1, 4번 탄소가 치환된 것)와 같은 용어가 관용명에 사용된다는 것을 제외하고는 직선형 알코올과 동일합니다. 메틸페놀은 크레졸이라 부릅니다.
'유기화학 > 탄화수소 유도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카복실산-명명법 (0) | 2022.12.01 |
---|---|
에터-물리/화학적 성질 (0) | 2021.11.03 |
카복실산-개관과 물성 (0) | 2021.10.20 |
탄화수소 유도체-목록 (0) | 2021.10.19 |
알데하이드, 케톤-개관과 물성 (0) | 2021.10.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