탄소화합물은 탄화수소, 산소를 포함한 화합물, 질소를 포함한 화합물로 나뉩니다. 탄화수소는 그중에서도 탄소와 수소만이 결합한 화합물을 이르는 말로, 크게 지방족 탄화수소와 방향족 탄화수소로 분류하고, 지방족 탄화수소는 다시 알케인과 알켄, 알카인으로 나뉩니다.
우선 방향족 탄화수소(아렌이라고도 함)는 벤젠고리를 포함하고 있는 탄화수소로, 독특한 냄새가 나는 것이 특징입니다. 지방족 탄화수소는 방향족 외의 탄화수소를 말합니다.
알케인은 단일결합으로만단일 결합으로만 이루어진 탄화수소입니다. 일반적으로 '-에인'이라는 이름을 가지며, 이름의 첫 부분에는 탄소의 수를 나타내는 접두사가 붙습니다. 단일 결합으로만 이루어져 있어 매우 안정해 연소 이외에는 거의 반응을 하지 않습니다.
알켄은 이중결합을 가진 탄화수소로, 이중결합이 있는 부분은 반응성이 커 작용기라 부릅니다. 알켄은 '-엔'이란 이름을 가지며 알케인과 마찬가지로 이름의 첫 부분에는 탄소의 수를 나타내는 접두사가 붙습니다. 그리고 만약 이중결합이 두개 이상 존재한다면 사슬에 번호를 부여하되, 이중으로 결합한 탄소가 가능한 적도록 이중결합을 명명합니다.
마지막으로 알카인은 삼중결합을 가진 탄화수소로, 알켄과 마찬가지로 삼중결합이 존재하는 부분을 작용기라 부릅니다. 일반적으로 '-아인'이라는 이름을 갖지만 몇 가지 이 규칙에 따르지 않는 관용명이 있습니다(대표적으로 아세틸렌).